맙소사!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다니! 하지만 돌이켜 생각해보면 트럼프가 2004년 어프렌티스를 제작하고 진행하며 TV리얼리티쇼에 진출할 당시부터 대통령 준비를 해 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만화 영화 [심슨 가족]에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면 미국을 어떻게 말아 먹을지' 바트가 상상하는 에피소드가 무려 15년전인 2000년에 나온 적 있다니, 이미 그때부터 트럼프가 정치권 근처에 기웃거렸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이 상상이 맞다면 어프렌티스는 트럼프가 자신의 대중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철저히 계산돼 만들어진 프로그램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리고 이 점에서 트럼프는 어프렌티스를 활용해 '화려한 금수저 출신의, 기품있고 뛰어난 리더'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대성공을 거둡니다.
1. 유능한 인재들 중 자신의 참모를 뽑음 : 방송 포맷 자체가, 자신의 회사에서 부사장 역할을 할 경영 인재를 뽑는 것이죠. 그러다보니 자신의 밑에서 근무하겠다고 지원한 변호사, CEO, 검사, 의사, 박사 등 미국 유수의 엘리트들과 매주 격한 토론을 벌이고 그 중 한명을 탈락시킵니다. 그 토론을 벌이는 장소도 마치 대통령 집무실처럼 웅장합니다. 시청자들은 이 장면을 보며 은연 중, 트럼프가 저 고학력 고스펙 엘리트들도 능가하는 매우 뛰어난 리더라는 인상을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어도 이상할 것 없다.'라는 '가정'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되죠. 사실 저 출연자들은 트럼프 밑에서 일하고 싶어서 지원한게 아니라 TV출연으로 부와 명성을 얻고 싶어 지원한 것일텐데도 말이죠!
3. 프로그램 곳곳에 '트럼프 = 대통령', '세트장 = 대통령 집무실', '회사 임원 = 대통령 참모진', '부인 멜라니아 = 영부인', '트럼프 리조트 = 부유한 국가' 이미지화 전략 : 어프렌티스의 첫 화면은 항상, 황제가 등장할 듯한 웅장한 음악을 배경으로, 헬리곱터를 타고 내려온 트럼프가 출연자들의 환호성을 받으며 레드카펫 위에 선 장면으로 시작됩니다. 이 요란스러운 장면은 한때 미국 코미디 프로의 패러디로 자주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돈 많은 사업가에 불과(?)했던 트럼프가, 오늘날 미국 대통령에 당선된 배경에는 이러한 미디어 전략(?)이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했다는 사실에는 누구도 부인하기 힘들 것 같습니다.
트럼프는 집념의 승부사임에는 틀림없습니다. 목표를 설정하고 쟁취하는데 능하죠. 그는 타고난 사업가이며 자신의 욕망에 솔직하고 충실합니다. 그러나 잘자란 자식들에서 보듯 기존 미국의 보수적인 가정의 가치를 그대로 가진 사람인것도 같습니다. 하지만 트럼프는 잘 포장된 '이미지 대통령'이라는 생각이 강하게 듭니다. 철학과 비젼은 안보이는 사람이죠. 그가 백악관에 있는 동안 '대통령놀이'를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여왕놀이', '공주놀이'를 하며 청와대에 아직도 계시는 '이미지 대통령'을 겪은 우리로서는, 충동적인 그의 성격과 별로 지적이지 않으며 이타적이지 않은 그의 면모가, 이미지에 가려 제대로 검증되지 않은 건 아닌지, 미국의 국제적 영향력을 고려할 때 심히 우려됩니다. 특히 북핵 문제가 걸려 있으므로...
'생각의 조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접흡연의 피해, 국민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0) | 2017.07.28 |
---|---|
시리아 난민 사태의 근본 원인은 독재! (0) | 2017.07.06 |
트럼프의 어프렌티스, 왕년의 팬으로서... (0) | 2016.11.10 |
무한도전 미르와 미르재단! (0) | 2016.11.05 |
박근혜는 뇌순녀인가, 공감무능력자인가? (0) | 2016.11.01 |
박근혜를 보면 그녀가 떠오른다... (0) | 2016.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