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과 투자 및 경제/연금&보험

연금설계[7] 퇴직소득, 일시금 vs 연금 수령! 세금 차이 비교 분석

퇴직 후 소중한 퇴직금을 어떻게 받을지 고민하시죠? 일시금으로 받을지, 아니면 연금으로 받을지에 따라 세금이 달라진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1. 퇴직소득, 어떻게 받느냐에 따라 세금이 달라진다?
일시금: 퇴직소득세를 한 번에 납부합니다.
연금: 퇴직소득세를 나눠서 납부합니다.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으냐 연금으로 받느냐 고민하고 있는 직장인.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느냐, 연금으로 받느냐는 여유자금/ 생활자금 세금/라이프 스타일 등을 고려해 곰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2. 연금, 종류별 세금 비교!
▶  연금 수령한도 내 연금(10년 이하) : 퇴직소득세의 70%만 납부합니다. 

▶  연금 수령한도 초과 연금: 초과 금액은 퇴직소득세 부과, 한도 내 금액은 70% 또는 60% 감면 혜택

연금 수령 연차 10년 초과 : 퇴직소득세의 60% 납부

 

반응형

 


3. 퇴직급여 운용 수익에 대한 세금은?
퇴직급여를 운용하여 수익이 발생하면, 그 수익에 대한 세금도 내야 합니다.
연금계좌 과세대상금액 1,500만 원 이하 : 연금소득세 (3.3%~5.5%)를 납부합니다.
연금계좌 과세대상금액 1,500만 원 초과 : 종합과세 (6.6%~49.5%) 또는 분리과세 (16.5%)를 선택하여 납부할 수 있습니다.


4. 잠깐! 여기서 중요한 사실!
   연금 수령 연차가 10년 이하인 경우, 연금 수령한도 내에서 연금을 받으면 퇴직소득세를 감면받아 70%만 납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금 수령한도를 초과한 금액은  퇴직소득세가 부과되며, 연금 수령 연차가 10년을 초과하면 퇴직소득세의 60%만납부합니다. 퇴직급여 운용 수익에 대한 세금은 연금계좌 과세대상금액에 따라 달라집니다.

5. 현명한 선택, 미래를 위한 준비!
퇴직소득, 어떻게 받느냐에 따라 세금이 달라지는 만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자신의 상황에 맞는 합리적인 선택으로 미래를 준비하세요!

참고: 위 내용은 소득세법에 따른 것이며, 자세한 내용은 관련 법령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